이사람-
공약의 가벼움과 공약의 무거움 , “항상 초심 잃을까 두렵다”



정읍출신 전북도의회 이학수 의원이 3년여 동안받은 의정비와 활동수당을 소외계층 돕기에 기부해 화제다.
이학수 의원(정읍2선거구)은 2006년 7월 제8대 도의회에 진출한 이후 받은 각종 수당과 의정비 중 공제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사적으로 쓰지 않고 관내 사회·복지 단체 등에 기부해왔다.
‘다른 도의원이 되겠다’를 선거 구호로 내세웠던 이학수 도의원은 지난 2006년 5.31 지방선거를 위한 선거운동 과정에서 도의원에 당선된 다면 자신의 사적인 용도로는 의정활동비를 쓰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대한 당시 지역사회의 반응은 천차만별이었다. 선거 기간에 정치인이 흔히 할 수 있는 공약(空約)일 수 있으니 “선거 전략에 불과할 것” 이라는 냉소적인 시선들이 존재했었다. 그리고 선거가 끝나자 이 약속은 곧 바로 잊혀졌다.
선거 이후 실제로 지킬 것인지에 대해서 관심이 없어진 것이다. 이는 선거의 공약(公約)을 공약(空約)으로 바꾸는 정치인들을 향한 불신의 결과이기도 했다.
이학수 의원은 “유권자들에게는 새털과 같았던 이 약속은 나에게 태산과도 같았다”고 말했으며, “지역사회에 반납이 아닌 반환을 실천했다”고 밝혔다.
이 의원이 자신의 의정활동비에 대해 반납이 아니고 반환이란 용어를 고집하는 데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다. 자신이 쓰지 않았던 의정활동비의 진정한 주인은 유권자라는 점이 그 이유다. 그래서 제8대 도의회에 진출한 이후 받은 수당과 의정활동비를 의회 사무처가 아닌 유권자들에게 돌려주었기에 반납이 아니라 반환이라고 했다.
공제액을 제외한 의정활동비의 나머지 금액은 모두 사회복지 공동 모금회와 복지재단, 그리고 장학재단 등을 매개로 지역 공동체의 사회적 약자들에게 돌아갔다. 단체를 통한 기부행위였기에 수혜자들에게 이 의원의 존재감은 드러나지 않았다.
의정활동비 반환과 더불어 이 의원은 유권자에게 또 하나의 약속을 했고 그 역시 지키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 약속은 최근 의정활동을 통해 ‘공적 감수성’이란 용어로 정립되어 신선한 파문을 일으켰고 그 여파는 현재진행형이다. 도의회 본회의의 ‘5분 발언’을 통해 선출직과 피선출직을 망라하고 공직자들이라면 공적 감수성을 벼려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해 반향을 일으켰다. 반향은 각종 강연 요청 방식으로 전달됐다. 공무원 워크샵이나 대학 특강 등의 문의가 이어졌던 것이다.
이처럼 공직자들이 투철한 공인 의식을 갖는데 필요한 공적 감수성을 자극하는 한편 자신의 공적 감수성 또한 추스르는 것을 잊지 않는다.
이 의원은 “도의원은 사회적 지위가 아니라 역할적 신분으로 활용해야한다“고 말한다. 공적 자리가 주는 ‘힘’이란 행사하는 것이 아니라 나누는 것이라는 소신을 강조한다.
예리하게 벼린 공적 감수성이 살아 꿈틀거리게 하려면 뚝심이 따라야 하는 법. 또한 뚝심과 소신이 가져올 자칫 경직될 수 있는 이미지에 대해서도 두려움이 없어야 한다고 전한다. 그리고 이런 발언들이 정치적 수사로 전락되는 것을 막으려면 실행 매뉴얼을 구비해야 한다. 이 의원의 의정활동을 모니터링 해보면 그가 과연 언변에 능한 정치인인지, 정직한 정치인인지 가늠할 수 있다.
그의 실천 매뉴얼의 첫머리에는 ‘사회단체 보조금 지원 조례안’ 발의가 있다.
이 조례안은 선거직 공직자에게 ‘뜨거운 감자’이기 마련인 사회단체 보조금의 투명성을 높이는 제도 개선을 위한 것이라고 한다.
이 조례안은 사회단체에게 지급되는 보조금의 사용 내역을 공개하고 평가해서 추후 보조금 신청을 제한하거나 줄일 수 있는 길을 열자는 의도를 담았다.
또한 ‘전라북도용역과제심의위원회 설치 및 운영 조례안’을 발의해 용역 발주에 수반되는 혈세 낭비를 방지하는 장치를 마련하기도 했다.
이학수 의원은 “그동안 유권자나 후보자가 느껴야 할 공약의 가벼움과 무거움을 동시에 느낀 것 같다”며, “초선 의원에게 가장 두려운 것은 초심을 잃는 것”이라고 경계했다.(이준화 편집국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저작권자 © 정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