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남륜 기자

중국의 동북공정(東北工程), 일본의 다케시마(竹島)의 날 제정 그리고 최근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대한민국의 국정교과서까지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알아야할 역사적 사실들이다. 각자 다른 사건들의 나열이지만 공통적으로 내외부적인 역사왜곡을 위한 ‘역사전쟁’이라고 칭한다면 다소 과격한 표현일까?

이제는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 졌지만 중국의 동북공정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동북공정이란 중국 국경 안에서 전개된 모든 역사를 중국 역사로 만들기 위해 2002년부터 중국이 추진한 동북쪽 변경지역의 역사와 현상에 관한 연구 프로젝트다.

쉽게 말하자면 고조선부터 시작해서 고구려와 발해 등 현재 대한민국의 영토가 아닌 중국의 영토권에 속해있는 지역들에 대한 역사를 모조리 중국의 역사로 편입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먼 미래에 북한과 남한이 통일되고 발생할 수 있는 영토분쟁에 대한 문제를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의지로 보인다는 것이 역사학자들의 견해다.

이 때문에 한국에서도 중국의 역사왜곡에 체계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2004년 3월 교육부 산하의 고구려연구재단을 발족하였고, 2006년 9월 동북아역사재단이 출범하여 이를 흡수 통합하였지만 그 실효성이 얼마나 발휘될지 1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신뢰하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독도의 문제는 중국과 또 다른 형태의 분쟁이지만 사실 동북공정과 매한가지로 자국의 영토임을 주장하며 영토분쟁의 여지를 만들어 내는 것에 중심을 두고 있다.

지금 우리 정읍의 동학도 이와 유사한 상황에 놓여 있다. 학창시절 초등학교와 중학교 그리고 고등학교를 다니며 교육받은 역사교과서에는 동학과 황토현 그리고 전봉준장군이 항상 함께했다. 물론 그밖에도 수많은 전승일이 있었고 거론되는 영웅들이 있었으며, 거기에는 전주화약일도 있었다. 동학이 ‘혁명’이 아닌 ‘쿠테타’로 평가되어 지역이기주의와 함께 비난하는 일부 지역민들도 분명 있었다.

하지만 정읍에서는 그에 굴하지 않고 매년 자체적으로 ‘동학농민의 날’ 행사를 준비하면서 동학농민의 정신을 잃지 않기 위해 애써왔다. 그리고 십수년의 세월이 흐르고 각 지역마다 관광상품의 개발을 핑계로 그리고 사업비를 따온다는 명목으로 하나둘씩 동학이라는 이름을 빌려다가 쓰는 지경에 이르렀고, 이제는 동학농민의 날을 제정하는데 역사적 사실을 지켜가는 정읍을 지역이기주의 고장이라는 오명까지 뒤집어씌우고 있다.

기념일을 제정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떤 기념일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기록으로 남을 ‘동학의 날’이 의미 없는 날로 제정된다면, 먼 훗날에는 ‘동학’ 그 자체의 의미가 없어질까 두렵다.

최근 언론매체 뿐만 아니라 SNS를 통해서도 급속도로 국정교과서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국민들은 거리로 뛰쳐나오고 있으며 국가는 민심을 덮기에 급급하다. 기존의 역사교과서가 젊은 세대들에게 올바른 역사관을 심어주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설득하지만 대다수의 국민들은 그 본질을 꿰뚫고 있다. 지난주 본보를 통해 논란이 된 김시장 특별법 공포일 논란 또한 마찬가지다. 정읍의 시민들은 분노하고 있으며, 그 본질을 꿰뚫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저작권자 © 정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