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화 칼럼

지역언론에 무관심하면서도 전북도정을 꿈꾼다?

본보는 지난주(1377호) 1면에 ‘전북도지사 후보들에게 묻고 듣는다’를 게재하고, 이들의 답변을 기다렸다.
정읍시장 예비후보와 교육감,시·도의원 예비후보들까지 이같은 방식으로 현안이나 유권자들이 알아야 할 사안에 대해 질문하고 답변을 기사화 했다.
단편적인 보도로 인한 독자들의 일방통행식 정보 전달을 피하기 위해 출마자들의 답변을 한꺼번에 게재해 그들에 대한 소신과 평소 시정 및 도정, 교육 현안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정읍시장 후보들의 경우 2회에 걸쳐 질문하고 답변을 기사화 했다.
같은 질문 내용에 대해 각 후보들이 갖고 있는 생각을 비교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는 평이 주를 이뤘다. 하지만 후보들에게는 다소 귀찮았다는 소리도 들렸다.
당연히 그럴 것이다. 예비후보시절 무소속은 몰라도 정당을 가진 후보들은 경선을 통과하기 위해 전력을 경주해야 하는 시점에서 당연한 소리일 것이다.
하지만 그것 역시 선거를 치러야 하는 후보들이 갖는 책무이기도 하다.
누구든, 어떤 내용이든 궁금해하면 설명하고, 자신에 대해 사실과 다른 소문들이 일어난다면 적극 해명하고 이해를 구해야 한다.
본보는 지난주 전북도지사 후보들에게도 6개항에 달하는 질문서를 신문 지면을 통해 공개 질문하고 5월 28일까지 답변을 기다렸다.
이들의 관심도를 알아보기 위해 개별적으로 통보하지는 않았다.
각 지역별로 선거를 책임지고 있는 인사들이 있을 것이고, 이들이 관심있다면 후보에게 알리고 질문에 걸맞는 답변이 나올 것으로 기대했다. 오산이었다.
전북도정 역시도 전북도내 시군이 함께 어우러져야 발전을 이룰 수 있다는 점에서 본다면 도지사 후보는 당연히 각 시군발 언론보도 내용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선거사무소 참모진들 역시 자신들이 언론에 제공한 보도자료의 보도 여부만을 확인하는 초보적인 단계에서 벗어나 지역의 현안을 지적하고 문제를 제기하는 언론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그렇지 않는다면 후보는 물론 자신들의 발전도 기대할 수 없다.
어느 지역이건 각 지역신문들이 그 지역에 대한 현안문제와 해결해야 할 사안들, 고질적인 민원과 지역발전이 더딘 이유들에 대해 깊이 있게 파악하고 있다고 본다.
그런 면에서 본다면 정읍의 현안에 대해 관심을 두지 않는 전북도지사 후보들의 무관심을 질타하지 않을 수 없다. 이것이 비단 정읍만의 일이겠는가?

 

후보들의 공약, 이행 가능성까지 꼼꼼하게 살피자

그동안 예비후보로 활동했던 출마자들이 6.13선거 승리를 향해 후보등록을 마치고 내달리고 있다.
정당 소속 후보들은 경선이라는 엄청난 시험대를 통과하느라 파김치가 된 채 본선에 나섰고, 일부는 일찌감치 무소속으로 출마해 필승의 의지를 다지고 있다.
지금까지는 내부 경선을 통과하기 위해 동료들끼지 죽도록 사력을 다했다면 이제는 본선에서의 승리를 위해 공약과 올바른 정책을 내세워 실현 가능성을 검증받아야 한다.
‘아는 사람이 더 무섭다’는 말을 실감하듯 정당후보들은 동료들의 아픈 곳을 후벼 파며 경선전을 벌였다.
이들에게 공약과 정책이라는 미래 비전이 남아있을지 의심이 갈 정도로 격전을 벌였다.
하지만 아무리 예선이 치열했더라도 본선 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것이 바로 후보만의 공약이고 정책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를 접속해 각 지역별 후보자 등록현황을 보면 후보의 면면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
출생과 학력,경력을 비롯한 기본적인 사항은 물론 재산과 전과,병역 이행 여부도 확인이 가능하다. 특히, 도지사와 도교육감, 시장 후보들을 대상으로는 후보별 5대 주요공약이 수록돼 있다. 
공약 이행기간과 재원조달 방안까지 명기돼 있으니 공약의 이행 가능성을 점칠 수 있는 단초가 된다.
정읍시는 갈수록 쇠약해지는 지역세를 변화시키기 위해 특단의 조치와 합일된 노력이 필요한 곳이다.
‘인구 늘리기’는 모든 공약의 집약점이 돼야한다는데 이견이 없다. 어떤 공약이건 지역을 발전시키는 첫 요인이 되는 인구 증가 문제와 연관되지 않는 것이라면 추진 필요성을 검토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매번 선거때마다 제기되는 기업체 유치와 일자리 창출 역시도 실현 가능성을 높이보는 시민들은 많지 않다.
선거에 출마한 후보들이 단지 유권자의 환심을 사기 위해 탁상에서 내놓은 공약인지 아닌지는 일반적인 상식만 갖고 있는 시민이라도 알아볼 수 있다.
그러니 각 후보의 선거사무소측 전략담당 인사들은 전문가의 자문과 해당 기업과 직접 연계해 실현 가능성을 무엇보다 우선 검토해야 할 것이다.
조만간 열리게 될 후보자 검증 토론회에 나와 시간만 떼우며 대충 얼버무리는 식의 답변으로 일관하는 후보를 제대로 찾아내야 한다.
우리는 그동안 수없이 많은 일자리 공약을 접했었다. 수없는 기업체 유치와 수없는 일자리 공약이 남발됐지만 이행된 적은 없다. 후보들도 안될거 알면서 공약하고 유권자들 역시 속는줄 알면서 들어주는 풍토에 익숙해졌다.
대충 넘어가서는 안될때가 왔다. 자치단체의 명운이 다할 수도 있다는 ‘소멸지역’이라는 용어가 우리 곁에 와 있다.
없어질수도 있는 자치단체를 살려내기 위해서는 그만큼 뼈를 깎는 노력과 연구가 필요하다. 대충 출마한 후보를 인정이나 학연,지연에 의해 선택해서는 안된다. 후보들이 제시한 공약을 꼼꼼하게 검증하고 실현 가능성을 뒤로하고 유권자들의 입맛에만 맞춘 공약인지도 철저하게 확인해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저작권자 © 정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