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는 축사의 사양관리, 환경관리 등에 ICT 기술을 접목하여 생산비 절감, 축사환경개선을 통한 축산업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2020년 축산분야 ICT 융복합 확산사업 예비 신청을 12월 6일까지 축사가 있는 시군의 축산부서에서 받는다고 지난2일 밝혔다.

지원사업의 주요장비로는 온습도 제어장비, 악취측정기, 정전·화재 알림이, CCTV, 사료자동급이기, 로봇착유기, 발정탐지기 등이며 지원조건으로는 개소당 지원한도 15억원인 것으로 발표됐다. 재원비율은 국비 30%, 융자 50%, 자담 20% * 연리 2%, 3년거치 7년 상환 조건이다. 적잖은 혜택이다. 
또 전북도는 지난15년부터 19년까지 147개소, 300억원을 지원해 왔다고 했다. 그러면서 또 20년 스마트 축산의 본격적인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전국에서 가장 많은 예산 250억원을 확보하여 추진한다고 밝힌 것이다.(* ‘15년) 5개소/13억원 → ’16년) 17/40 →  ‘17년) 16/31 → ’18년) 14/24 → ’19년) 95/192)
전북도의 보도자료와 그동안의 노력한 결과와 발표한 것만 본다면 축산농가가 아닌 시민들은 정말로 잘했다고 칭찬을 해야 할지 감이 잘 잡히질 않는다고 했다. 그 이유는 분명 적잖은 예산을 투입하고서도 축산환경이 나아졌다는 목소리는 없기 때문이다.
최근 까지도 축산 농가 거주주민들은 악취와의 전쟁을 선언하고 또한 그로인한 고통을 호소하고 있기에 그렇다. 또한 악취추방시민연대는 주민신고와 함께 지속적으로 피해보상 등 법적 다툼까지 벌이고 있는 상황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축산 농가들의 뼈를 깍는 자성과 공동체의식도 필요하지만 그에 앞서 정부의 투자대비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축산 농가의 선진마인드 주입에 강력한 지도감독 및 단속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더불어 축산환경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농가 스스로가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법률과 제도개선의 제정비와 강화도 뒤따라야 한다. 밑 빠진 독에 물을 붓듯, 국민의 적지 않은 예산을 쏟아 부으면서 그저 “축산 ICT 장비 도입으로 자동화 및 빅데이터 활용을 통한 질병관리와 사양관리로 생산성 향상, 노동력 절감 및 축산환경개선을 가능하게 하여 축산농가 복지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만 밝힐 것이 아니다는 것이다.
따라서 예산투입에 따른 효율성과 적정선에 대한 제대로 된 감시와 단속 그리고 대농 축산가들에 대한 스스로의 자구책 등 축산환경을 축산인들 스스로가 개선 및 주도하도록 만드는 일이 더 우선일 듯 싶다. 어쨌든 전북도는 도내 스마트 축산화율을 ‘22년까지 약 10%(1천300호)로 확대할 계획도 세웠다고 밝혀 비축산인들의 귀추가 더 주목될 뿐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저작권자 © 정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