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제1장 집필동기와 개념
Ⅰ. 집필동기와 고사성어
1. 집필동기
2. 집필대상
3. 집필의 방향과 목적
4. 사자성어
Ⅱ. 사대미인
1. 침어낙안 폐월수화
가. 개념
나. 경국지색
2. 침어의 서시
가. 와신상담과 회계지치
나. 서시유추
다. 토사구팽
3. 낙안의 왕소군
4. 폐월의 초선
5. 수화의 양귀비

제2장 전설(신화)의 시대
Ⅰ. 인류의 탄생
1. 반고의 천지창조
2. 북경원인과 원모원인
Ⅱ. 삼황오제의 시대
1. 개념 및 전설
가. 삼황
나. 복희씨와 여와씨
다. 오제
라. 추녀와 거안제미
마. 요희의 신화
바. 전쟁의 신화
2. 요순시대
가. 요임금
나. 순임금
다. 태평성대
라. 소부와 허유
Ⅲ. 산해경의 신화
1. 개념 및 내용
가. 상상력의 보고
나. 산해경의 내용
다. 거인 과보
라. 백두산의 화산분출
2. 복숭아를 제사상에 못 올리는 이유

제3장 역사시대인 하은주
Ⅰ. 하나라
1. 세습왕조
2. 하도낙서
3. 멸망
Ⅱ. 은(상)나라
1. 역사시대
2. 멸망
Ⅲ. 주나라
1. 서주
가. 봉건제도
나. 강태공
다. 여산봉화
라. 포사의 탄생설화
마. 맥수지탄
2. 동주

제4장 춘추전국시대
Ⅰ. 개념
1. 춘추시대와 전국시대의 차이점
2. 춘추오패
3. 전국칠웅
Ⅱ. 춘추시대의 고사
1. 경국지색
가. 제양공과 문강의 근친상간
나. 7대미인과 도화부인
2. 제1대 패자(제환공)
가. 관포지교
나. 규구회맹
3. 제2대 패자(진문공)
가. 송양지인
나. 결초보은
다. 개자추와 한식
4. 제3대 패자(초장왕)
가. 불비불명과 문정경중
나. 절영회
다. 요부 하희
라. 백아절현
5. 제4대 패자(오합려)
가. 일모도원의 오자서
나. 손자병법의 손무
Ⅲ. 전국시대의 고사
1. 애국시인 굴원
가. 단오절의 유래
나. 거세개탁
2. 삼천명의 식객
가. 초나라의 춘신군
나. 맹상군의 계명구도
다. 조나라의 평원군
라. 위나라의 신릉군
3. 친구 및 어부지리
가. 화씨벽
나. 문경지우
다. 어부지리
Ⅳ. 제자백가
1. 백가쟁명
가. 개념
나. 유가
다. 법가
라. 도가
마. 묵가
바. 양가
사. 음양오행가
아. 병가
자. 종횡가
차. 명가
2. 공자
가. 탄생과 가족관계
나. 관직과 주유천하
다. 공문십철
라. 공자의 생각
마. 저술활동과 평가
바. 공자의 일화
3. 맹자
가. 편모슬하
나. 현재에도 사용되는 용어
다. 맹부자출처와 철환주유
라. 군자삼락
마. 하늘이 장차 큰 임무를 내릴 때
4. 유가의 사서삼경
5. 혜시
가. 역물십사
나. 해시의 일화
6. 한비자
가. 망국의 10가지 징조
나. 오두

제5장 천하통일과 초한지
Ⅰ. 진의 통일과 멸망
1. 여불위
가. 기화가거
나. 여씨춘추
2. 진시황
가. 천하통일
나. 생김새와 실정
3. 진의 멸망
가. 지록위마와 멸망의 원인
나. 왕후장상녕이종호
Ⅱ. 초한지

제6장 한나라와 삼국시대
Ⅰ. 전한
Ⅱ. 후한
Ⅲ. 삼국시대

제2장 전설(신화)의 시대
Ⅰ. 인류의 탄생
1. 반고의 천지창조
전설시대(傳說時代)는 문자의 기록은 없이 말로만 내려오는 시대다. 반고(盤古)가 천지(天地)를 창조(創造)했다는 설화(說話)의 내용은, 태초(太初)에 우주에 가득 찬 기운이 거대한 바위로 변하고, 그 바위 사이에서 탄생(誕生)한 반고가 점점 성장하여 바위를 2쪽으로 갈라, 바위 1개는 하늘이 되고 1개는 땅이 되었으며, 죽은 반고의 눈은 태양과 달, 내쉰 숨결은 공기(바람, 구름, 안개), 목소리는 천둥, 뼈는 산, 육체는 흙, 솜털은 초목, 피는 강과 바다가 되었다. 좀 황당(荒唐)하지만 많은 문헌에서 인용(引用)되면서, “천지동근 만물일체(天地同根 萬物一體) 하늘과 땅은 같은 뿌리이고, 만물은 한 몸”의 근거다. 설화의 원전(原典)은 진시황(秦始皇)의 분서갱유(焚書坑儒 BC213)로 소실(燒失)된 후 후대(後代)에 재창조(再創造)되었다.

2. 북경원인과 원모원인
한편 고고학(考古學)에 따르면 최초의 인류는 약50만년 전의 북경원인(北京原人)이라고 보았으나, 섬서성(陝西省)에서 발견(1963년)된 남전원인(藍田猿人)은 1백만년 전이고, 운남성(雲南省)의 원모원인(元謨猿人)은 170만년 전이다. 이후 약6천년 전의 중국대륙에는 동쪽에 이족(夷族), 서쪽에 강족(羌族), 남쪽에 묘족(苗族), 북쪽에 적족(狄族)이 살았는데, 동쪽의 이족에 치우라는 영웅이 있었다(후술Ⅱ.1.바②).

Ⅱ. 삼황오제의 시대
1. 개념 및 전설
가. 삼황
삼황오제(三皇五帝)란 중국 고대(古代)의 전설적인 성인(聖人)인데, 삼황은 ①수인씨(燧人氏) ②복희씨(伏羲氏) ③신농씨(神農氏)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풍속통의>. 다른 견해로는 1)천황(天皇) 2)지황(地皇) 3)인황(人皇= 태황泰皇)<사기>, 1)복희 2)여와(女媧) 3)신농<풍속통의>, 1)복희 2)신농 3)황제<십팔사략> 등이 있다. ①수인씨는 불(火)과 음식의 조리법을 발명했다. ②伏羲 ; 복희씨(BC35세기)는 후술(나.)한다. ③神農 ; 신농씨의 정식 이름은 염제(炎帝)이며, 인신우두(人身牛頭 사람의 몸에 소의 머리)인데, 오곡을 심고 약초의 성질과 효능을 정리하여 한의학(韓醫學)의 기초를 세웠다. 중국인이 차(茶)를 즐기는 이유라고 본다. 그러나 삼황시대는 천지(天地)가 혼돈(混沌= 渾沌)상태여서 인간과 동물의 구별도 명확하지 않은 신화(神話)일 뿐이다.

나. 복희씨와 여와씨
①伏羲 ; 복희씨는 화서(華胥)라는 처녀가 뇌택(雷澤)에서 우뢰신(雷神)의 발자국을 밟고 임신하여 낳았다고도 하며, 정식이름은 태호(太昊)이며, 사신인수(蛇身人首 뱀의 몸에 사람의 머리)였다.
②伏羲의 業績 ; 복희씨의 업적으로 ㉠사냥법과 팔괘를 만들었고<태평어람(太平御覽) ; 송(宋)의 이방(李昉)이 편찬한 백과사서(百科辭書)>, ㉡거미를 보고 그물을 만들었으며<갈홍의 포박자(抱朴子)>, ㉢거문고를 만들어 가변(駕辯)의 노래를 지었고<굴원의 초사(楚辭)>, ㉣혼인할 때 한 쌍의 사슴가죽으로 예물을 삼도록 했으며<나필의 노사(路史)>, ㉤건목(建木)을 타고 하늘에 올랐고<유안의 회남자(淮南子)>, ㉥손에 규구(規矩)를 들고 일월(日月)의 운행을 측정(測定)했다.
③女媧 ; 복희씨와 여와(女媧왜)씨는 원래 남매였는데 대홍수가 가라앉고 하늘의 허락을 받아 부부(夫婦)가 되어 인류의 조상(祖上)이라는 설화다. 여와는 중매인(仲媒人) 및 결혼의 규범을 세우고, 남녀 사이의 올바른 행실을 규정했다. 또한 흙으로 사람을 만들었다<태평어람>.
④伏羲 女媧圖 ; 중국 신강성의 고분에서 1916년 영국의 탐험가(고고학자)인 스타인(A.Stein 1862~ 1943)이 발견한 7세기경에 제작된 “복희 여와도”에, 복희와 여와는 뱀의 하체로 똬리를 틀어 화합(교미交尾)하면서, 복희의 오른 손에는 측량도구인 기역자(ㄱ)의 자를 들고, 여와의 왼손에는 가위(원을 그리는 컴퍼스)를 들어, 목이 잘린 형천(刑天)의 머리가 여와의 오른 어깨에 매달려 있고(이는 복희씨가 형천의 머리를 끈에 매달아 돌리는 중임), 돈황석굴(敦煌石窟)에도 많은 그림과 조각이 있으며, 현대에 와서 제작된 석상도 있다.

다. 오제
오제(五帝)는 여러 견해가 있지만, ①황제 ②소호 ③전욱 ④요임금 ⑤순임금으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고, ②소호 대신 전욱을, ③전욱 대신 제곡(帝嚳)을 꼽는 견해도 많다. ①황제(黃帝)는 신농씨를 대신하여 치우(蚩尤) 등을 물리치고 천자(天子)가 되어(BC27년경), 집 의복 배 수레 문자 음률 도량형 달력 등을 발명했으며, 한의학의 원전인 황제내경(黃帝內徑)과 소녀경(素女經) 등을 저술했다. ②소호(少昊)는 황제의 맏아들이다. ③전욱(顓頊)은 황제의 손자로서 BC25세기경 고양(高陽)에서 건국하여 재위기간 78년에 98세에 사망했다. 그러나 ③전욱 이전시대는 신화일 뿐, 이때는 아직 도덕적 양심이 정립되지 않아 인간의 삶이 혼란의 연속이다가 요순시대에야 비로소 안정된다.

바. 추녀와 거안제미
중국의 4대추녀(四大醜女)는 ①막무 ②종리춘 ③맹광 ④완녀라고 하는데, 얼굴만은 못생겼지만 마음은 고왔다. 거안제미(擧案齊眉)란 밥상을 눈썹 높이까지 공손히 올려서 드린다는 의미로, 남편을 깍듯이 공경(恭敬)함이다. ①막무(女+莫 毋)는 최초의 오제(五帝)인 황제(黃帝)의 황후로서 비록 야차(夜叉)처럼 생겨 추악(醜惡)했지만 덕(德)을 베풀면서, 황제가 염제 및 치우와의 전쟁에서 승리하도록 도왔다. ②종리춘(鍾離春)은 제(齊)나라 염현에서 출생하여 머리는 커다란데 머리칼은 적고, 눈은 움푹 파였으며, 콧구멍은 하늘을 향하고, 목의 성대가 남자처럼 생겼으며, 새카만 피부의 추녀였지만 원대한 포부(抱負)여서, 스스로 왕궁에 들어가 제선왕의 잘못(성격이 조급하고 아부를 좋아하여 듣기 싫은 소리를 하는 신하를 죽임)을 지적하면서, 고치지 않으면 나라가 망할 것이라고 하니, 왕이 감동하여 종리춘을 왕후로 삼았다. ③맹광(孟光)은 검은 피부에 뚱뚱한 추녀였지만, 힘은 세어서 무사들의 훈련을 도와 덕행을 쌓았으므로, 당시 최고 미남인 양홍(梁鴻)이 처로 삼았는데, 남편 공경을 잘하면서 백년해로(百年偕老)여서 거안제미(擧案齊眉)라는 고사성어가 생겼다. ④완녀(阮女)는 결혼 첫날밤 추한 모습에 기겁하여 도망가는 남편 허윤(許允)을 붙잡고, 여자가 갖추어야 할 사덕(四德) 중 용모만 빼고 다 갖추었는데, 그대는 여자의 미모만을 좋아할 뿐 덕행을 좋아하지 않으니, 선비의 갖출 덕목 100가지를 모두 갖추었다고 할 수 없지 않느냐고 따진 즉, 허완은 완녀의 식견에 탄복(歎服)하여, 평생을 사랑하며 잘살았다는 전설이다.

마. 요희의 신화
①雲雨之情 ; 염제신농(炎帝神農)의 셋째 딸 요희(瑤姬)는 옥처럼 아름다운 미인이었지만, 시집도 못가서 죽어 고요지산(姑瑤之山)의 요초(瑤草)가 되었는데, 요초의 노란색 열매를 먹은 여자는 남자의 사랑을 받는다. 하늘은 요희를 불쌍히 여겨 운우(雲雨)의 신(神)인 무산신녀(巫山神女)로 봉(封)하여(BC27세기경), 요희는 조운모우(朝雲暮雨 아침에는 구름 저녁에는 비)를 실행했다. 한편 요초를 먹으면 평소에 사모하는 상대와 꿈속에서 만난다는 전설도 있어, 약2,500년이 지나 전국시대 초(楚)의 회왕(懷王 BC328~ 298재위)과 그 아들 양왕(襄王 BC298~ 263재위)이 각 별도로 비몽사몽(非夢似夢)간에 무산(巫山)에서 요희와, 운우지정(雲雨之情)을 나누었다는 고사가 초(楚)의 궁정시인(宮廷詩人) 송옥(宋玉)의 고당부(高唐賦)에 나타난다.
②新羅의 瑤石公主 ; 요희(瑤姬)의 신화 이후 약3,400년이 지나, 우리나라 신라에는 요석공주(瑤石公主)와 설요(薛瑤)의 설화가 있다. 원효(元曉 617~ 686)의 노래 “수허몰가부 위작지천주(誰許沒柯斧 爲斫支天柱) 누가 자루 없는 도끼를 내게 빌려 줄 건가, 내가 하늘을 받칠 기둥을 깎으려 하네.”의 뜻을 알아들은 김춘추(무열왕)가 과부가 된 딸 요석공주와 합궁(合宮)을 주선(周旋)하여 설총(薛聰 655~)을 낳았다는 설화다. 설총은 최치원(崔致遠)과 함께 신라십현(新羅十賢)의 한 사람으로서 유학(儒學)의 발전에 공헌(貢獻)했다.
③新羅의 薛瑤 ; 신라 신문왕(神文王) 때 아름다운 여류시인 설요(薛瑤 660?~ 693)는 15세에 승려(僧侶)가 되어 6년이 지나 환속(還俗)하면서 지은 “반속요(返俗瑤)”에 “화운심혜사숙정(化雲心兮思淑貞) 동적멸혜불견인(洞寂滅兮不見人) 요초방혜사분온(瑤草芳兮思芬蒕) 장내하혜시청춘(將奈何兮是靑春) 구름이 되려고 마음깊이 정숙만을 생각했지만, 적막한 마을너머 사람하나 보이지 않고, 요초의 꽃향기에 마음도 향기처럼 피어오르네, 아 장차 이 청춘을 어찌할꼬.”라 한다.

바. 전쟁의 신화
①三皇時代 ; 삼황시대는 무질서의 상태에서 임금자리를 차지하려는 치열한 전쟁이다. 즉 삼황의 마지막 임금인 염제신농(炎帝神農)이 오제의 첫째인 황제(黃帝)에게 임금자리를 선양(禪讓)한 것이 아니어서, 황제가 임금자리를 강제로 앉았는데, 신농의 신하에는 영웅(英雄)인 치우와 형천이 있어 신농이 임금자리의 뒷전으로 밀린 점에 불만이었다.
②蚩尤天王 ; 치우(蚩尤)는 신농을 대신해서 임금의 권좌(權座)에 앉기 위한 황제(黃帝)와 싸움에서 패배했지만, 치우는 눈(目)이 4개, 손(手)이 6개, 동(銅)의 머리, 철(鐵)의 이마 위에 뿔이 달렸으며, 모래나 돌을 먹으면서, 금으로 만든 무기를 사용하며, 연기를 빨아들이고 안개를 뿜는 등 멋진 전쟁(戰爭)의 화신(化身)이었으므로, 후대 삼국시대(三國時代 AD200년경) 유비(劉備)가 전쟁에서 승리를 위해 치우에게 제사를 지냈다고 하며, 우리나라 2002년 월드컵축구대회에서 응원단인 붉은악마가 치우를 조상(祖上)으로 모시는 멋을 부렸고, 중국의 소수민족인 묘족(苗族)도 치우를 조상으로 모시고 숭배하고 있다.
③刑天 ; 형천은 신농의 신하로서 음악인 부리(扶梨)와 시가인 풍년(豊年)을 지어 하모(下謨)라 했는데, 당시의 행복한 생활을 표현한 것이다. 치우가 황제에게 패배하자, 형천은 황제에게 도전하여 싸웠지만 역부족으로 목이 잘렸는데도, 권토중래(捲土重來)로 젖꼭지를 눈으로 삼고 배꼽을 입으로 삼아 싸움을 계속했고, 산해경(山海經 후술Ⅲ.)에 형천은 그 음악성 때문에 도끼와 방패를 들고 춤추는 모습으로 표현된다. 한편 싸움이 끝나고 황제는 승천(昇天)했다.
④共工 ; 염제신농(炎帝神農)의 후손(後孫)인 공공(共工)이 치우와 형천의 뒤를 이어 전욱(顓頊)의 폭정(暴政)에 반란(反亂)을 일으켰으나, 전욱에게 패(敗)하자 화가 난 공공이 하늘을 지탱(支撑)하고 있던 큰 산을 머리로 받는 바람에 산의 허리가 꺾여 천하의 서북쪽이 올라가고 동남쪽이 내려 앉아 버렸고, 이를 두고 공공노촉부주산(共工怒触不周山)이라 하는데, 여와(女媧)가 돌을 녹여 하늘을 보수하고(연석보천 鍊石補天) 땅의 홍수를 막았지만(개천벽지 開川辟地), 중국의 지형이 그대로 굳어져 현재상태가 되었다는 신화(神話)다.
⑤冬至 ; 우리나라의 풍습(風習)에는 동짓날에 팥죽으로 한지의 창문에 칠한다. 이는 공공(共工)의 못된 아들이 동짓날 죽고 역귀(疫鬼)로 변하여 사람을 괴롭히는데, 붉은 팥을 두려워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2. 요순시대
가. 요임금
①虞 ; 황제(黃帝)가 죽고 그의 증손(曾孫) 제곡 고신(帝嚳 高辛)과 그 셋째 부인 경도(慶都)와의 사이에 BC2,377년경 태어난 방훈(放勛)이 바로 요(堯)임금인데, 1년을 366일로 정하고 3년에 1번의 윤달을 두었다. 요순시대를 우(虞)나라라 한다.
②忠孝禮 ; 요임금의 처(妻)는 “보천지하 막비왕토 막비왕신 동서남북무사불복(普天之下 莫非王土 莫非王臣 東西南北無思不服) 하늘아래 왕의 땅이 아닌 곳이 없고 왕의 신하가 아닌 자가 없어, 복종하지 않은 백성은 생각할 수도 없음”으로 충(忠)을, “효즉 만행지본 혜아무강 자손보지 백선위효선(孝卽 萬行之本 惠我無疆 子孫保之 百善爲孝先) 효는 만행의 근본으로 부모은혜는 무한하여 자손이 영구히 받들어야 하는 선행이 효임”으로 효(孝)를 각 표현하고, 황후가 되고도 사치를 멀리하고 손수 밥을 지어 요임금에게 대접하는 등 예(禮)를 실천했다.
③儉素 ; 요임금 자신도 토담의 초가집에서 현미와 야채가 주식이며, 겨울철에도 녹피(鹿皮)만으로 추위를 견뎠고, 의복이 닳아야 새 옷으로 갈아입을 정도로 검소했다. 요임금에게는 아들 단주(丹朱)가 있었지만 양위(讓位)하지 않고, 자기의 두 딸인 아황과 여영을 현자(賢者)인 순(舜)에게 시집보내서 사위로 삼아 선양(禪讓)했다.

나. 순임금
①孝子 ; 순(舜)은 일찍이 모친을 여의고, 부친 고수(瞽嫂)는 후처(後妻)에서 태어난 아들 상(象)만을 총애하면서, 순을 창고의 지붕에 올리고 사다리를 치워 불태워 죽이려 했지만 삿갓을 이용해 내려왔고, 우물을 파도록 지시한 후 우물을 메우려 했지만 굴을 파서 빠져나오는 등의 고충을 당했는데도, 순은 부모에게 효도하면서 동생과도 사이좋게 지내는 현자(賢者)였다. 효도에 감동하여 순의 밭갈이에 온갖 짐승(코끼리, 새 등)이 도와주었다는 설화다. 또한 순은 농사지을 때는 밭두둑을 양보했고 고기잡이에서는 좋은 자리를 양보하는 현자여서 순이 머무는 곳에는 사람이 모여 1년이 지나면 촌락이, 2년이 지나면 읍이, 3년이 지나면 도회지가 각 형성되었다.
②娥皇과 女英 ; 아왕과 여영은 비록 천자(요임금)의 딸이지만 겸손하여 남편은 물론 친척에게도 도리를 지켰으며, 요임금의 뒤를 이어 61세에 천자(天子)된 순임금은 재위39년 만에 단주(丹朱)의 화살에 맞아 죽었으므로(세수100세), 순임금의 정비(正妃)인 아황(娥皇= 상군湘君)과 차비(次妃)인 여영(女英= 상부인湘夫人)도 순임금을 따라 소상강(瀟湘江)에 몸을 던졌다는 설화다.
③禪讓 ; 순(舜)임금과 여영(女英)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인 상균(湘均)이 있었지만, 현자인 우(禹)를 사위로 삼아 양위(讓位)했다.

다. 태평성대
①根據 ; 요순시대가 태평성대(太平聖代)였다는 근거는 공맹(孔孟)의 글인 “입아증민(立我烝民) 막비이극(莫匪爾極) 불식부지(不識不知) 순제지측(順帝之則) 우리가 이처럼 잘 살아가는 것은, 모두가 임금님의 지극한 덕인데, 우리는 아무것도 알지 못하지만, 임금님이 정하신 대로 살아갈 뿐이네.”에서 찾을 수 있다.
②同義語 ; 태평성대와 같은 뜻으로 ㉠강구연월(康衢煙月 강구거리에서 저녁밥을 짓는 연기가 달을 향해 피어어름, 즉 큰길가의 평화로운 풍경), ㉡고복격양(鼓腹擊壤 배불러서 격양가를 부름), ㉢비옥가봉(比屋可封 어진이가 많아 집집마다 표창함), ㉣함포고복(含哺鼓腹 배불리 먹어 즐거움), ㉤시화연풍(時和年豐) 나라가 태평하여 풍년이 듦), ㉥요지일월(堯之日月 요임금의 세월), ㉦요고순목(堯鼓舜木 ; 백성들의 간언을 위해 달아놓은 요임금의 북과 순임금의 나무) 등이 있다. 한편 ㉧격양가(擊壤歌)의 내용은 “일출이작 일입이식(日出而作 日入而息) 경전이식 착정이음(耕田而食 鑿井而飮) 제력하유어아재(帝力何有於我哉) ; 해가 뜨면 일하고 해가 지면 쉬네, 밭을 갈아 먹고 우물을 파서 마시니, 임금님의 힘이 나에게 무슨 소용인가.”이다.

라. 소부와 허유
요순시대는 왕위(王位)의 세습(世襲)이 아니라 덕망가(德望家)에게 임금의 자리를 물려주는 선양(禪讓)이어서, 노약(老弱)이 된 요(堯)임금은 은자(隱者 숨어 지내는 사람)인 허유(許由)에게 임금을 물려주려고 권유(勸誘)했다(BC2,390경). 허유는 이를 뿌리치면서 “세이공청(洗耳恭聽)” 즉 귀가 더렵혀졌다고 영수(穎水)에서 귀를 씻을 때, 소부(巢父)는 더렵혀진 물을 소에게 먹일 수는 없다고 상류로 올라가면서, 참으로 은자라면 임금에게도 들키지 않았어야 한다며 허유를 꾸짖고 허유와 함께, 기산(箕山)으로 숨어 요산요수(樂山樂水)와 무욕양생(無慾養生)의 방법으로 살았으므로, 수많은 고전(古典)에서 기산지절(箕山之節), 기산지조(箕山之操), 고운야학(孤雲野鶴) 등으로 표현되면서, 후대에야 제작된 유적은 있지만, 당시의 유적(遺蹟)은 발견되지 않았다.

Ⅲ. 산해경의 신화
1. 개념 및 내용
가. 상상력의 보고
①神話 ; 고전(古典)인 신화는 인간의 원초적(原初的)인 상상력(想像力)을 유발(誘發)시켜 생활을 풍요롭게 만든다. 신화를 너무 현실적인 측면만으로 보면 신화 속에 함축(含蓄)된 많은 뜻을 놓칠 수 있다. 고전 중의 고전인 산해경에 “…비천하지지통(非天下之至通) 난여언산해지의의(難與言山海之義矣) 오호 달관박물지객 기감지재(嗚呼 達觀博物之客 其鑒之哉) ; …천하를 통달하지 않고는 더불어 산해경의 의미를 말하기는 어렵도다. 아 천하를 통달한 박식한 후대 사람은 이것을 거울로 삼을 것이다.”라고 표현한다.
②山海經 ; 산해경은 하(夏)의 우왕(禹王)때 백익(伯益)이 지었고, 진시황(秦始皇)은 전략적인 가치가 있다고 보아 감추었는데, 한대(漢代 AD202~ BC220)에도 존재했지만, 전한(前漢)의 유흠(劉歆 BC46~ AD23)이 새롭게 편찬했으며, 해내경(海內經)과 해외경(海外經)으로 구성되어, 상상력의 보물창고라고 볼 수 있다. 당시 중국 외 다문화(多文化)를 서술하면서, 고조선(古朝鮮 BC2333~ 108)이 홍익인간(弘益人間)의 정신으로 신시(神市)를 형성하고 무궁화(無窮花)인 훈화초(薰華草)를 좋아했다는 기록이다. 산해경은 지리서(地理書)이면서 신화가 곁들였지만, 민속학 종교학 역사학과도 관련이고, 최근에는 유에프오(UFO) 및 첨단과학과도 관련성이 있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나. 산해경의 내용
①英雄 ; 산해경에는 신(神) 내지 영웅이 그림까지 그려져서 표현된다. ㉠제강(帝江 혼돈의 시대에 이목구비가 없이 코끼리의 몸인 귀신), ㉡황제(黃帝 치우를 물리친 임금), ㉢치우(蚩尤 전쟁의 영웅), ㉣예(羿 10개의 태양 중 9개를 없앤 영웅), ㉤월궁항아(月宮姮娥 예의 아내였다가 달에 사는 미인), ㉥서왕모(西王母 곤륜산에 사는 범의 이빨과 표범의 꼬리를 가진 여신) 등이 묘사(描寫)되어 있다. 삼천갑자 동방삭은 서왕모의 천도(복숭아)를 훔쳐 먹고 오래 살았다는 전설이다.
②怪物 ; 또한 산해경에는 괴물이 등장한다. ㉠농지는 청구산(靑丘山)에 살면서 꼬리가 9개로 숲속에서 아기 우는 소리를 내어 사람을 유인한 후 잡아먹는 구미호(九尾狐)의 전신(前身)이다. ㉡문요어(文鰩魚)는 푸른 무늬의 날개가 달려 밤에만 날아다니는 잉어처럼 생긴 붉은 주둥이의 물고기인데, 문요어를 보면 풍년이 들고 먹으면 시고 단맛으로 미친병이 낫는다는 속설(俗說)이다. ㉢염유어(冉遺魚)는 물고기의 몸에 뱀의 머리와 말의 귀에 발이 6개로, 염유어를 먹으면 악몽(惡夢)을 꾸지 않는다고 한다. ㉣만만(蠻蠻)은 오리처럼 생겨 혼자서는 날지 못하고 2마리가 합해야 날 수 있는데, 사람의 눈에 띄면 홍수가 난다고 하며, 고구려(BC37~ AD668)에 와서 황조(黃鳥)로 표현되고 황조를 잡아먹으면 질투심(嫉妬心)이 없어지는 효력이 있다고 한다.
③異邦人 ; 산해경에는 이방인이 등장하는데, ㉠장비국(長腓國)은 팔다리가 길고, ㉡삼수국(三首國)은 머리가 3개이며, ㉢섭이국(聶耳國)은 귀가 길고, ㉣관흉국(貫胸國)은 가슴이 뻥 뚫려 있으며, ㉤염화국(厭火國)은 입으로 불을 토하고, ㉥흑치국(黑齒國)은 이빨이 검고 벼(稻)와 뱀(巳)를 먹으며, ㉦불사국(不死國) 또는 교경국(交脛國)은 동쪽에 있는데 성씨가 아(阿)이며 감목(甘木)을 먹으면서 늙지도 죽지도 않고, ㉧소인국과 대인국이 있으며, ㉨저인국(氐人國)은 인어(人魚 물고기의 몸에 사람의 얼굴)이고, ㉩여인국(女人國)은 남자가 없어 황지(潢池)의 연못에서 목욕하면 임신(姙娠)한다.

다. 거인 과보
과보(夸父)는 키가 100m나 되는 거인(巨人)인데, 신농(神農)의 후예(後裔)로서 치우(蚩尤)의 편에서 황제(黃帝)와 싸웠다. 과보는 변화무쌍(變化無雙)한 신통력(神通力)의 표현으로 어깨와 양손에 황사(黃巳)를 액세서리로 가지고 다녔고, 태양과 경주(과보추일 夸父追日)하다가 목이 말라 황하(黃河)와 위수(渭水)의 물을 다 마시고도 모자라, 과보가 죽으면서 버린 지팡이가 복숭아나무 숲으로 변했으며, 후대인 춘추시대 오왕(吳王) 부차(夫差)가 월왕(越王) 구천(句踐)을 회계산(會稽山)에서 생포할 때 거대한 뼈가 발견되었다고 한다.

라. 백두산의 화산분출
①名稱 ; 백두산(白頭山)은 산해경에 불함산(不咸山)으로 기록되고, 단단대령(單單大嶺), 개마대산(蓋馬大山), 태백산(太白山), 장백산(長白山), 백산(白山) 등으로 불리다가, 일연(一然)의 삼국유사(三國遺事)에서 백두산으로 처음 기록되었다.
②火山噴出 歷史 ; 태초에 지표면이 평평했던 백두산에서 화산분출의 역사를 보면, 지금부터 ㉠2,800만년전, ㉡2천만년전, ㉢1,500만년전, ㉣200만년전, ㉤65만년전 등에 각 현무암의 분출, ㉥60만년전, ㉦44만년전, ㉧33만년전, ㉨25만년전 등에 각 화산쇄설암의 분출, ㉩10만년전에 용현암의 분출, ㉪8만년전에 알카리 유분암의 분출 등이다. 그리고 1만년전의 빙하기를 거쳐, ㉫지금부터 1050년~ 1410년 전의 부석 화산회의 분출, ㉬AD1413년, 1597년, 1668년, 1702년에 각 화산회와 가스의 분출 등이다. 한편 발해(AD698~ 926)가 14대 229년만에 갑자기 멸망한 원인이 위㉫의 화산폭발 때문이라는 견해가 있다.
③爆發 可能性 ; 현재 백두산 정상(頂上)은 매년 1~4㎝씩 솟아올라 최근 8년동안(2002년~ 2009년)에 10.4㎝나 올랐고(높이 2,744m⇒ 현재높이 2,750m), 온천의 온도상승이어서, 2014년의 폭발가능성과 30~ 50년 후에 폭발가능성을 예상하는 견해도 있다.

2. 복숭아를 제사상에 못 올리는 이유
①太陽鳥= 三足烏 ; 제사(祭祀)때 복숭아만은 제사상에 올리지 못하는 우리의 전통인데, 산해경에 나오는 천신(天神)인 예(羿)의 신화에 근거가 있다. 즉 요(堯)임금 때 동쪽 끝의 부상(扶桑 뽕나무)에서 인간세계를 밝게 비춰주는 천제(天帝= 제준帝俊)의 아들인 태양조(太陽鳥= 삼족오三足烏 3개의 다리인 황금새) 10마리 중 하루에 1마리만 나타나는 법칙을 어기고 장난기로 동시에 나타나 땅이 펄펄 끓고 동식물이 타죽으므로, 요임금은 천제에게 해결을 간청했다.
②弓手인 羿 ; 천제는 활(弓)의 명수인 천신(天神) 예(羿)에게 태양조를 다치지 않게 장난기만을 고치라고 하면서 예의 아내인 항아(姮娥)와 함께 지상으로 내려 보낸다. 너무 뜨거워 괴로워하는 땅을 보고 화가 난 예는 천제의 부탁을 잊고 태양조를 활로 쏘아 죽이므로, 태양이 모두 사라질 것을 염려한 요임금은 10개의 화살 중 1개를 감추었기에 9개의 태양은 죽고 1개의 태양만 살아남았다.
③月宮姮娥 ; 천제는 자기 아들 9명의 태양조를 죽인 예를 징벌(懲罰)하려고, 항아와 함께 인간세계로 내려 보내면서 천신의 자격을 박탈한다. 인간으로 살아가야 하는 항아를 달래려고 예는 곤륜산(崑崙山)의 서왕모(西王母)로부터 불사약(不死藥)을 구해왔다. 항아는 불사약을 혼자 다 먹고 달(月)나라로 달아나서 월궁항아(月宮姮娥)가 되었다. 다만 후대에 와서 항아는 두꺼비가 되었다고도 한다.
④宗布神 ; 예는 활솜씨로 인간을 괴롭히는 괴물들을 처치하여 인간세계의 영웅으로 추앙(推仰)받지만, 활솜씨를 전수(傳受)받은 제자 봉몽(逢蒙)은 최고가 되려고 스승인 예를 복숭아몽둥이로 머리를 때려 죽였으므로, 천제는 예를 불쌍히 여겨 귀신의 대장인 종포신(宗布神)으로 삼았다. 이후 모든 귀신들은 복숭아나무를 싫어하게 되었다.

차주 3장으로 이어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저작권자 © 정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