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태룡 대표기자

지난 2004년3월5일 특별법제정 공표와 함께 동학농민혁명 기념일 제정을 둘러싸고 발상지인 정읍을 비롯한 고창과 부안,전주까지 타당성과 당위성을 놓고서 허송세월 하듯 논쟁을 삼아왔다. 동학하면 전봉준이요, 황토현 전투에서 첫 승을 국민들은 기억하고 있다. 또한 고부군수 조병갑의 학정으로 말미암아 봉기의 시발이 됐다는 것도, 초등교육을 받았던 국민들이라면 익히 오래전부터 기억하고 있는 사실들이다.

그런가하면 전봉준과 동학을, 혁명의 당위성을 만들려고 박정희 당시 혁명군의장이 지시하고 또 황토현 현장에 내려와 기념탑제막식을 거행하기도 했다. 그리고 그 후 김대중 전 대통령이 정읍에서 매년 거행하는 동학혁명기념제에 참석하여 군수와 경찰서장 등이 곤혹을 치뤄야했던 시끄러운 역사도 정읍에서 만들어 졌다. 그 후 전두환 전 대통령은 전봉준과 전씨라는 이유와 함께 이곳 황토현을 성역화하려는 기초 작업을 지시하기도 했다.

그 이유는 무엇이었겠는가? 역사적 당위성과 정읍이 곧, 동학농민혁면운동의 발상지로서 역사적 가치와 의의가 많다고 판단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처럼 그런 지난 과거의 행적만을 살펴보더라도 또, 그동안 김대중 전 대통령의 방문 이후 동학기념제 중단과 관으로 이관된 전후에도, 정읍에서는 줄곧 전 시·군민이 나서서 동학정신을 계승하고 발전시켜왔던 것도 사실이다.

그런 정읍의 역사성과 당위성 등을 제쳐 놓고서 뒤늦게 특별법 제정으로 아전인수(我田引水)격의 서로가 다른 주장이 나오는 것은 궁색하고 어설프다는 것이다. 최근 기념일 제정과 관련하여 전직 공무원출신인 최상기씨는 울분을 토해 내고 있다. 얼토당토 않은 전주화약일로 김대곤이사장이 의견을 행안부에 냈다는 것을 확인한 후에 말이다.

전주화약일인 6월11일은 동학농민혁명 과정 중에서 청나라와 일본이 개입하자 농민군들이 정부에 폐정개혁안을 제시하고 협약을 체결한 뒤 철수한 것을 뜻한다.

말로만 외치고 당위성을 얘기하는 것만으로서 문제가 해결되고 정읍의 자존심이 지켜지는 것은 아니다. 정읍시와 정읍 사람들의 실천적 행동이 필요한 때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저작권자 © 정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