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태룡 대표기자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제정과 관련하여 특별법 시행 이후, 지역이기주의로 인한 다툼이 적지 않았다. 그런가하면 기념재단은 정읍이 방심하고 있는 사이에 실체가 불분명한 단체를 내세워 이미 결정하려는 답안을 내놓고서 자기들끼리 회의와 투표를 진행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런 상황에서 정읍지역에서는 또다시 기념일 제정과 관련하여 소수의 적극적인 애향인들은 지난 121회 기념행사를 지켜보고 또, 그곳에서 나온 관계자들의 발언을 듣고서 분노와 함께 각각의 의견과 주장을 쏟아 내놓고 있다.

물론 지난 2004년 3월5일 특별법제정 공표와 관련하여 또 국가기념일 제정에 즈음하여 본보는 계승사업회측과 시당국을 향해서 도대체 그동안 우리는 무엇을 했으며 어떻게 대응했기에, 동학이 인접지역에서 터무니없는 주장과 욕심을 내며 아전인수격으로 서로가 특별법 공표와 함께 그 몫을 챙겨 가려하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아직도 동학을 온전한 정읍사람들의 자존심이자 자긍심을 일깨워 주는 업적은 부족해 보인다. 결국 그 때 이후서부터 현재까지 국가기념일 하나도 고부봉기 또는 황토현전승일로 매듭을 짓지 못한 것이다. 결과적으로는 말이다. 시민사회가 한 덩어리 마냥 움직이지 못한 탓도 있다고 본다. 어찌됐든 그런 일이 있은 후에도 계승사업회를 비롯한 시당국 그리고 관련있는 단체들 또한 기념일 제정을 놓고서 애는 섰지만 최선을 다하지는 못한 것 같다. 이웃집에서는 적극적인 행동을 펼치며 학자들을 규합하고 동분서주하고 있을 때, 우리는 또 소극적인 늑장대응 등으로 우리끼리의 의견일치와 같은 합의점을 아직까지도 찾지를 못했기 때문이다.

그런 상황에서도 다행스러운 것은 그나마 일부가 목소리를 내고 따지는 동안 기념재단 역시도 국가기념일에 대한 역사적 사실에 기인한 명확하고도 합리적인 날에 대한 국민적인 합의와 동의 또한 아직 만들어 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본보가 또 다시 나섰다. 기념재단을 상대하고 그와 함께 파당적인 처신을 하는 일부 학자들과 여타의 동학관련 사업단체들과 당당하게 맞서기 위해서, 정읍지역 동학관련 단체장과 사회단체장들을 초청해 긴급 회동을 주선하고 해법을 찾고자 한다.

한목소리로 함께 나서서 갑오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제정을 고부봉기와 황토현 전승일로 주장해도 이미 일부 학자들과 기념재단 이사진, 그리고 동학관련 사업단체들을 포섭해 버린 상황에서, 또한 전주화약일로 기정사실화하려는 기념재단측의 억지성 명분화에 맞서기 위해서라도 늦었지만 정읍사람들끼리 의견조율을 통한 한목소리가 필요하겠다는 판단에서이다.

더욱이 기념재단측과 정부를 향해서 일관성 있는 대응과 시와 시민들로부터 대표성을 인정받은 이가 창구 일원화로 나서서 싸워줘야 하기 때문이다. 오늘 본보가 정중하게 초청한 단체는 동학농민혁명정읍유족회, (사)갑오농민동학혁명유적보존회, (사)동학농민혁명계승사업회, 정읍시애향운동본부, 재경정읍시민회, 정읍동학농민혁명정신선양위원회, 동학농민혁명역사바로세우기대책위, 행정동우회 등이다.

이들 대표들과 함께 오후5시부터 정읍신문 사옥 2층서 국가기념일 제정과 관련한 정읍사람들의 입을 맞추고 그 대비책을 마련해 대응하고자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저작권자 © 정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