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칼럼

코로나 블루란 코로나 19와 우울감(blue)가 합쳐진 신조어로 코로나 19사태의 장기화로 일상에 큰 변화가 닥치면서 생긴 우울감이나 무기력증을 말하며,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어학원은 쉬운 우리말로 ‘코로나 우울’이라 선정했다.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 19가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국내에서도 환자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었고, 우리의 일상에 커다란 변화를 일으켰다. 코로나 19와 관련하여 코로나 블루, 코로나 레드, 확진자, 집콕족, 금스크, 언택트 등 다양한 신조어들이 등장했다. 
  코로나 19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사람들은 자신도 언제 감염될지 모른다는 두려움을 느꼈고, 걱정과 염려, 무기력감, 불안을 겪게 되는 경우가 많다. 외부활동을 자제하고 실내에 머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답답함, 자신도 코로나 19에 감염될 수 있다는 불안감, 작은 증상에도 코로나가 아닐까 하는 두려움, 활동 제약에 따른 무기력증, 실내에 머무는 시간이 늘면서 감염병 관련정보와 뉴스에 지나친 집착, 주변 사람에 대한 지나친 경계심이 나타난다.    
  요즘 외래에 내원하는 분들은 행복하지 않다며 차라리 이렇게 살 바에는 죽고 싶다는 이야기를 많이 한다. 이전에 비해 친구들과의 모임이나 직장 내에서 동료들과의 만남, 가족모임이 현저히 줄면서 스트레스는 지속적으로 쌓이고, 경제적 위기까지 오면서 외부에서 그 원인을 찾고 남 탓으로 돌리는 분노의 감정이 커지게 되었다. 
  심리학자 배리 슈워츠는 행복의 핵심이 개인에게 있지 않고, 타인과의 친밀함과 사회적 관계에 있다고 말한다. 공동체야말로 우리를 굳게 결속시켜준다는 것이다. 국가에서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사람과 사람사이의 간격을 떨어뜨리자는 것을 심리적 거리두기로 동일시해 받아들이면서 우울감과 무기력감이 심화되었다. 사회적 거리두기는 감염병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므로 직접 친구나 가족과 만나는 것이 제한된다하더라도 전화나 문자를 통해 안부를 나누는 것도 정서적 거리를 좁히는데 도움이 된다. 
  개인이 할 수 있는 최선의 코로나 예방법은 객관적 사실을 근거로 적절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키고 철저한 개인위생수칙과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으로 인터넷에 떠도는 가짜뉴스에 현혹되지 않아야 한다. 
  하루 종일 코로나 19 뉴스와 정보에 노출되다보면 불안감이 증폭되고 교감신경계가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되면서 신체적으로 가슴이 두근거리고, 밤에 잠이 오지 않고, 숨이 잘 쉬어지지 않고, 소화가 안 되고, 두통이나 어지러움이 생긴다. 몸에서 이런 반응이 있다면 ‘내가 코로나로 걱정하고 힘들어하는 구나. 뭔가 개선해야지.’라는 생각을 해야 한다. 
  먼저 생활리듬을 평상시처럼 유지해야 한다. 집에만 있다 보면 밤새 인터넷, 유튜브, TV 등을 보게 되고,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기 쉬우므로, 자고 깨는 시간을 평상시 출퇴근 했던 때처럼 잘 유지해야 하고, 밤에 야식을 많이 먹으면 체중증가 및 소화기에 문제를 야기하므로 규칙적인 식사가 중요하다. 밖에 나가지 않고 실내에만 있으면 우울한 기분이 심해지므로 아침에는 외부공간에서 볕을 쬐고 걷는 것이 신체리듬 회복에 도움이 된다. 
  코로나 19를 이유로 감염된 사람을 소외시키는 심리를 갖기 쉬운데, 누구에게도 노출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노출된 사람들에게 동정심과 관심을 가지고 객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전 신종 플루와 같은 팬데믹을 잘 극복했던 것처럼 현재의 코로나 19역시 이겨낼 것이다. 비가 오면 땅이 단단해지는 것처럼 합심해서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감과 공동체 정신도 회복될 것이다. 일상생활과 가족의 소중함을 다시 한 번 느끼는 시간으로 한계와 살아가는 법을 배우고, 코로나와 같은 재앙이 발생하지 않도록 자연환경을 가꾸기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하겠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저작권자 © 정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