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탐방

참여자 묘역 대신 추모상징물 설명 필요, 새로 조성한 동학 동상 안내 없어

준공후 기념공원을 찾은 탐방객들은 “뭔가 모를 아쉬움이 많다”고 지적했다.
일단 공원에 들어서면 눈을 사로잡을만한 랜드마크를 찾기 어렵고, 둥근 석재로 이미 조성한 사발통문과 새로 조성한 울림의 기둥은 외형적으로 너무 중복된 느낌이 크다고 했다.
“1894년 5월 11일 동학농민군이 전라감영군을 맞아 크게 승리한 정읍황토현적적(사적 제295호) 일대 29만2천427㎡부지에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이 완공되었다. 기념공원은 기존의 시설(사발통문광장,동학농민혁명기념관,동학농민혁명교육관,옛 기념관,제민당,구민사,갑오동학혁명기념탑)에 더해 전시관과 추모관,연수동,캠핑장,방문자센터,편의시설,상징조형물,울림의 기둥 등이 새롭게 들어섰다.”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은 동학농민혁명 기념공원을 이렇게 소개했다.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은 건축시설로 전시 및 연구동과 숙박시설(42명 규모) 기타 편의시설로 방문자센터와 캠핑장 지원시설과 조경시설로는 동학농민혁명의 길, 기억의 들판,야외 추모공간,기념전시마당,녹지, 300여대를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 등이 조성됐다.이 기념공원은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등의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해 추진되는 이 사업은 2014년부터 지난 4월까지 총 324억8천500만원(국비 303억, 지방비 21억4천)의 사업비를 들여 추진했다.
준공후 기념공원을 찾은 탐방객들은 “뭔가 모를 아쉬움이 많다”고 했다.
더군다나 아직 주변 조경이 자리잡지 않은 상황이라 의미를 찾아 해석하기 어렵다고 했다.
지형에 크게 두드러지지 않게 들어선 연수동이나 관리동은 나름 황토현이 갖는 의미가 포함돼 있지만 기존 시설이던 기념관과 새로 건립된 기념관, 옛 기념관 전시물은 일부 어린이 전시물로 변경했지만 너무 중복되어 있다는 느낌이 크다고 지적했다.
정읍시가 관리하는 건물인 옛 기념관은 정비가 필요해 보인다.
‘기억의 들판과 혁명의 길’ 등의 컨셉에 따를 수 있지만 햇볕을 피할 수 있는 나무가 부족하고, 캠핑장은 말 그대로 숙영지라 명명해야 욕먹지 않을 정도였다.
전시관과 추모관 사이에 조성된 잔디 언덕내 상징조형물은 인상적이었다. 
이미 조성된 공원 입구 사발통문 광장과 새로 조성된 울림의 기둥은 나름 다른 의미를 부여하고 있지만 외적인 면에서 원형 석재로 조성된 중복시설 같은 느낌을 준다.
주말인 지난 9일(토) 현장을 찾은 탐방객들은 부족한 안내와 편의시설이 부족하다고 꼬집었다.
특히, 얼마전 13억8천만원을 들여 조성한 동학농민혁명 동상의 경우 어디에 세워졌는지 알 수 없을 정도로 안내되지 않았다.
일부 탐방객들은 “공원 입구나 중심부에 동상이 세워졌어야 하는 것 아니냐, 안내판도 없으니 어디있는줄 알겠느냐”고 지적했다.
한편, 현재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은 예전 정읍시가 관리하던 황토현전적을 포함해 모든 부지가 기념재단으로 이전됐다.
2018년 공원 사업을 위해 국·공유지에 대한 양수 및 매입 절차가 끝났기 때문이다.
정읍시는 현재 황토현전적 내 옛 기념관 등 일부 시설만 관리하고 있다.

▷본보는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 준공을 1개월여 앞둔 지난 4월 중순, 당초 계획됐던 500여기의 참여자 묘역 조성사업 백지화에 따른 아쉬움을 지적했다.
본보 편집위원회는 “당초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들의 명예회복과 동학농민혁명의 성지 이미지 구축을 위해 참여자 묘역 조성이 추진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 갑자기 누락된 이유가 무엇이냐”며 “반드시 필요한 사업은 삭제하고 각종 건축시설에 주력한 것은 아닌지 의구심이 든다”고 지적했다.이 사업이 계획되던 초기 700억원대 공사 계획이 알려지던 2012년 보도에서도 추모관과 묘역 조성계획을 기사화 했다.하지만 이후 2014녀 5월 공모지침수립 연구용역이후 당초 추모공원에서 테마공원으로 변경되면서 정읍시의회도 감사를 청구하는 등, 반발하는 모습을 보였다.“이미 김생기 시장 시절 500여기의 참여자 묘역조성이 계획돼 있었는데 공사 준공 시점인 최근에 묘역이 없다는 소식을 접했다”며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기념공원 조성에서 묘역을 뺀다는 것은 당초 기념공원 조성 목적과 배경에 맞지 않는 결정”이라는 지적에 따라 사실을 확인했다.
당초 계획됐던 묘역조성이 백지화 된 이유에 대해 동학농민혁명기념관 관계자는 △사적지 내 묘역을 조성할 수 없다는 관련법 저촉과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유족들의 이견 때문이라고 밝혔다.사적지 내에는 묘역을 조성할 수 없다는 관련법 규정과 함께 자신들이 사망할 경우 황토현 소재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에 묻혀야 하느냐는 불만 등이 겹쳐 이견으로 작용했다는 것이다.이에 따라 기념사업회 측은 당초 묘역을 조성할 장소 1천300여평에 야외 추모상징물 건립하고, 68평 규모의 실내 추모관에는 명패를 두어 추모토록 했다고 밝혔다.일각에서는 사적지 내 묘역을 조성할 수 없다는 관련 규정 역시 너무 경직된 해석이고 과한 제한이라는 지적이다.특히,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의 경우 주변에 문화재 등이 위치해 있지 않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불필요한 법적용이라는 주장도 있었다.(이준화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저작권자 © 정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